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datastructure
- list 컬렉션
- stream
- 윤성우 열혈자료구조
- 혼자 공부하는 C언어
- 메모리구조
- JSON
- insertion sort
- 윤성우의 열혈 자료구조
- 이스케이프 문자
- Serialization
- s
- buffer
- 이것이 자바다
- C programming
- 알기쉬운 알고리즘
- Stack
- Selection Sorting
- Graph
- R
- C 언어 코딩 도장
- coding test
- Algorithm
- Today
- Total
목록Computer Science/Network (13)
Engineering Note
HTTP 메세지에는 요청 라인에는 요청 메서드가 들어간다. 요청 메서드는 서버에게 무엇을 '어떻게'라는 요청에서 '어떻게'에 해당하는 역할을 한다. 데이터를 수정할 때 사용하는 POST, PUT, PATCH 차이를 정리하려고 한다. POST는 기본적으로 클라이언트에서 데이터를 서버에 전송해서 추가하고 싶을 때 사용한다. 가령, 게시판에 글을 올리거나 하는 등 작성한 내용을 서버에 전송해서 추가할 때 주로 사용하지만, 수정이나, 삭제할 때도 사용할 수 있다.POST가 데이터를 추가하는데 사용하는 게 기본이라면, PUT과 PATCH는 기본적으로 수정을 하는 메서드이다. 하지만 차이가 있다. PUT은 데이터 전체를 수정하고 싶을때, PATCH는 일부만 수정하고 싶을 때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서, PUT으..
HTTP가 흔히들 TCP/IT 위에서 동작한다고 한다. 단순히 암기한 내용을 심층적으로 이해하고 싶어서 관련 내용을 정리하고 테스트해보았다.HTTP의 대표적 특징이 이전상태를 저장하지 않는 무상태 프로토콜이고 TCP는 대표적인 신뢰성있는 상태 프로토콜인데 모순이 있다고 생각해서 스스로 그 이유를 추론해봤는데 HTTP요청을 보내면(application layer) 클라이언트와 서버가 OS단에서 TCP 커넥션을 맺고(Transport layer) 여기서 많은 패킷을 보내는 동안 패킷 단위에서는 상태를 유지하고 연결을 유지해서 데이터의 신뢰성을 높이고(여기서는 상태를 TCP에서 유지) 하나의 요청에 대한 응답에 해당하는 모든 데이터를 다 보내면, 그 다음 요청에 대해서는 상태를 유지하지 않는다. 연결을 끊..
IP(Internet Protocol)는 프로토콜 중 하나로 인터넷에서 데이터를 주고 받을 때 사용하는 통신 규약이다. 이때 전달하는 데이터를 특별히 패킷이라고 부르고, 패킷을 이용해 정보를 교환하는 방식을 패킷교환 방식이라고 부른다. IP 의 주된 역할- 패킷을 정해진 목적지까지 전달IP의 특징- 비신뢰성(unreliable) : 내용물의 상태를 보장하지 않음- 비연결성(connectionless) : 수신자 여부를 고려하지 않음.가장 많이 사용하는 IP- IPv4 IP 구성- 8비트.8비트.8비트.8비트- IP 각 자리는 0부터 255까지 숫자를 가질 수 있음. (8비트는 0부터 255(00000000 ~ 11111111)- 앞 24비트 : 네트워크 주소, 마지막 8비트 : 호스트 주소. 단 마지막 ..
OSI(Open Systems Interconnection) 7계층이 생긴 배경- 초창기 컴퓨터 네트워크는 학교, 군대 등 각 기관별로, 소수의 사람만이 사용하는 네트워크 였음.- 개인용 컴퓨터가 보급 후 다른 기종의 컴퓨터끼리도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는 표준화 움직임이 생겨남- 1984년 국제 표준화 기구에서 표준이 정의됨. OSI 7 Layer- 국제표준화기구(ISO)에서 1984년에 개발한 모델- 통신이 일어나는 과정을 7단계로 분류(OSI 7계층으로 네트워크 구성요소 계층화, 표준화)- 7단계로 분류해서 각 단계가 어떤 역할을 수행해야하는지, 수행하는지 등 큰 뼈대, 규칙을 정해 놓은 일종의 메뉴얼- 서로 다른 시스템끼리도 연결(호환)이 될 수 있게 하는 표준안- 각 계층 별로 역할과 통일된 ..
URL(Uniform Resource Locator): 일반적으로 웹 사이트 주소: 좀 더 정확하게 웹사이트뿐 아니라 HTML문서, 이미지, 동영상 등 인터넷에 존재하는 모든 자원을 나타내는 경로: 프로토콜, 도메인 등 여러 요소를 합친 결과물로 구조를 이해해야 함.URL 구조URL도 일반 현실에서 사용하는 집주소, 건물 주소 표시 방법처럼 규칙이 있음.=> 프로토콜://호스트주소:포트번호/경로?파라미터 'http://www.example.com:80/path/to'URL 맨 앞부분 : 해당 자원을 얻기위한 통신규약, 프로토콜을 나타냄.프로토콜 종류웹:HTTP, HTTPS이메일:malito파일전송: FTP URL은 웹뿐 아니라 다른 인터넷상의 자원에도 접근가능하므로, http, https를 제외한 다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