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윤성우의 열혈 자료구조
- 이것이 자바다
- s
- C 언어 코딩 도장
- Serialization
- 메모리구조
- 이스케이프 문자
- JSON
- stream
- list 컬렉션
- 혼자 공부하는 C언어
- 윤성우 열혈자료구조
- Graph
- 알기쉬운 알고리즘
- C programming
- coding test
- datastructure
- Stack
- buffer
- Algorithm
- Selection Sorting
- R
- insertion sort
- Today
- Total
Engineering Note
[Network] OSI 7계층과 계층별 데이터 용어 본문
OSI(Open Systems Interconnection) 7계층이 생긴 배경
- 초창기 컴퓨터 네트워크는 학교, 군대 등 각 기관별로, 소수의 사람만이 사용하는 네트워크 였음.
- 개인용 컴퓨터가 보급 후 다른 기종의 컴퓨터끼리도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는 표준화 움직임이 생겨남
- 1984년 국제 표준화 기구에서 표준이 정의됨.
OSI 7 Layer
- 국제표준화기구(ISO)에서 1984년에 개발한 모델
- 통신이 일어나는 과정을 7단계로 분류(OSI 7계층으로 네트워크 구성요소 계층화, 표준화)
- 7단계로 분류해서 각 단계가 어떤 역할을 수행해야하는지, 수행하는지 등 큰 뼈대, 규칙을 정해 놓은 일종의 메뉴얼
- 서로 다른 시스템끼리도 연결(호환)이 될 수 있게 하는 표준안
- 각 계층 별로 역할과 통일된 규칙이 있음.
OSI의 목적
- 호환성과 표준화
OSI7 계층의 효과
- OSI 7계층으로 네트워크 구성요소를 계층화하고 표준화하자 계층 내 장치나 프로토콜(통신규약)이 달라져도 통신할 수 있게 되었고, 새로 개발된 장치/프로토콜을 빠르게 예측할 수 있음.
- 복잡한 컴퓨터 네트워크 세계를 구분지어서 계층화하고 각 계층의 표준 규칙을 만들어서 네트워크 발전이 빨라짐.
- 네트워크의 문제가 생겼을 때, 통신이 일어나는 과정을 단계별로 파악할 수 있어짐.
OSI 7 Layer
7 계층 : 응용 계층(Application Layer)
6 계층 : 표현 계층(Presentation Layer)
5 계층 : 세션 계층(Session Layer)
4 계층 : 전송 계층(Transport Layer)
3 계층 : 네트워크 계층(Network Layer) : 라우터
2 계층 : 데이터 링크 계층(Data Link Layer) : 브릿지, 스위치
1 계층 : 물리 계층(Physical Layer) : 리피터, 허브
계층별 데이터 표현 용어
응용 계층(Application Layer) : 데이터, 메시지
표현 계층(Presentation Layer) : 데이터, 메시지
세션 계층(Session Layer) : 데이터, 메시지
전송 계층(Transport Layer) : 세그먼트
네트워크 계층(Network Layer) : 패킷
데이터 링크 계층(Data Link Layer) : 프레임
물리 계층(Physical Layer) : 비트
참고 자료 : 모두의 네트워크(길벗, 서지영), 그림으로 쉽게 이해하는 웹/HTTP/네트워크(위키 북스 임지영)
'Computer Science >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Network] HTTP 메세지 구조 (0) | 2025.07.16 |
---|---|
[Network] HTTP 메서드 POST, PUT, PATCH (3) | 2025.07.16 |
[Network] 무상태 프로코콜 HTTP와 신뢰성 프로토콜 TCP (0) | 2025.07.15 |
[Network] IP의 역할과 특징 (0) | 2025.07.02 |
[Network] URL의 개념과 구조 (0) | 2025.06.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