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ngineering Note

[Network] OSI 7계층과 계층별 데이터 용어 본문

Computer Science/Network

[Network] OSI 7계층과 계층별 데이터 용어

Software Engineer Kim 2025. 6. 30. 11:54

OSI(Open Systems Interconnection) 7계층이 생긴 배경

- 초창기 컴퓨터 네트워크는 학교, 군대 등 각 기관별로, 소수의 사람만이 사용하는 네트워크 였음.
- 개인용 컴퓨터가 보급 후 다른 기종의 컴퓨터끼리도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는 표준화 움직임이 생겨남

- 1984년 국제 표준화 기구에서 표준이 정의됨.

 

 

OSI 7 Layer

- 국제표준화기구(ISO)에서 1984년에 개발한 모델

- 통신이 일어나는 과정을 7단계로 분류(OSI 7계층으로 네트워크 구성요소 계층화, 표준화)

- 7단계로 분류해서 각 단계가 어떤 역할을 수행해야하는지, 수행하는지 등 큰 뼈대, 규칙을 정해 놓은 일종의 메뉴얼

- 서로 다른 시스템끼리도 연결(호환)이 될 수 있게 하는 표준안

- 각 계층 별로 역할과 통일된 규칙이 있음.

 

 

OSI의 목적

- 호환성과 표준화

 


OSI7 계층의 효과

- OSI 7계층으로 네트워크 구성요소를 계층화하고 표준화하자 계층 내 장치나 프로토콜(통신규약)이 달라져도 통신할 수 있게 되었고, 새로 개발된 장치/프로토콜을 빠르게 예측할 수 있음.

- 복잡한 컴퓨터 네트워크 세계를 구분지어서 계층화하고 각 계층의 표준 규칙을 만들어서 네트워크 발전이 빨라짐.

- 네트워크의 문제가 생겼을 때, 통신이 일어나는 과정을 단계별로 파악할 수 있어짐.

 

 

 

 

OSI 7 Layer

7 계층 : 응용 계층(Application Layer)

6 계층 : 표현 계층(Presentation Layer)

5 계층 : 세션 계층(Session Layer)  

4 계층 : 전송 계층(Transport Layer) 

3 계층 : 네트워크 계층(Network Layer) : 라우터

2 계층 : 데이터 링크 계층(Data Link Layer) : 브릿지, 스위치
1 계층 : 물리 계층(Physical Layer) : 리피터, 허브

 

 

계층별 데이터 표현 용어

응용 계층(Application Layer) : 데이터, 메시지

표현 계층(Presentation Layer) : 데이터, 메시지

세션 계층(Session Layer) : 데이터, 메시지

전송 계층(Transport Layer) : 세그먼트

네트워크 계층(Network Layer) : 패킷

데이터 링크 계층(Data Link Layer) : 프레임

물리 계층(Physical Layer) : 비트

 

 

참고 자료 : 모두의 네트워크(길벗, 서지영), 그림으로 쉽게 이해하는 웹/HTTP/네트워크(위키 북스 임지영)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