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Algorithm
- datastructure
- list 컬렉션
- 메모리구조
- 이것이 자바다
- buffer
- Stack
- stream
- Serialization
- 윤성우 열혈자료구조
- 혼자 공부하는 C언어
- insertion sort
- 윤성우의 열혈 자료구조
- Graph
- R
- C 언어 코딩 도장
- Selection Sorting
- coding test
- s
- JSON
- C programming
- 알기쉬운 알고리즘
- 이스케이프 문자
- Today
- Total
목록DevOps (3)
Engineering Note

Docker를 사용하다보면 자주사용 하는 명령어는 익숙하지만, 새로운 명령어를 사용해야 할 때도 있다. 이때 --help 옵션을 사용하면 명령어에 대한 추가 옵션이나, 새로운 명령어를 확인할 수 있다.예를 들면 docker container run은 자주 사용하는데 docker container 다음에 run 명령어 말고 다른 명령어를 알고 싶을 경우, docker container 다음에 --help를 붙여주면 docker container와 관련된 다른 명령어를 알 수 있다. 여기에 만약에 컨테이너의 내부 파일을 변경하고 싶다면 exec 명령어를 사용할 수 있다. docker container exec -it /bin/sh 이를 통해 컨테이너의 내부에 접속에 터미널을 통해 컨테이너와 CLI로 파일..
도커 이미지 파일을 만들려면 Dockerfile을 작성하는데, 이때 이미지 레이어 캐시원리를 이해하면 Dockerfile 스크립트를 최적화 할 수 있다.Dockerfile 스크립트의 인스트럭션은 각각 하나의 이미지 레이어와 1:1로 연결되는데, 인스트럭션 겨로가가 이전 빌드와 같다면, 이전에 캐시된 레이어를 재사용한다.(내부적으로 해시값 사용)아래와 같은 Dockerfile이 있을 때, 빌드 후에 app.js를 수정하고 다시 빌드하면, COPY app.js 인스트럭션 위 스크립트는 변경된 사항이 없기 때문에 도커가 캐시된 레이어를 사용하고 COPY app.js . 부터는 새로 인스트럭션을 수행한다. 그런데 COPY app.js 이후에 해당하는 인스트럭션 'CMD ["node", "/web-ping/app..
FROM: 모든 도커 이미지는 다른 이미지로부터 출발한다. Dockerfile 스크립트에서 다른 이미지를 불러오는 인스트럭션. ENV: 도커 컨테이너내에 파일시스템의 환경변수를 기정하기 위한 인스트럭션이다.WORKDIR: 컨테이너 이미지 파일 시스템에 디렉터리를 만들고, 해당 디렉터리를 작업 디렉터리로 지정하는 인스트럭션이다. 리눅스와 인도우 컨테이너 모두 구분자로 슬래시를 사용한다. 만약 'WORKDIR /web-ping' 이라고 작성했다면, 리눅스 컨테이너에서는 /web-ping 디렉터리를 만들고, 윈도우 컨테이너에서는 C:\web-ping 디렉터리를 만든다.COPY: 로컬 호스트 파일 시스템의 파일 혹인 디렉터리를 컨테이너 이미지로 복사하는 인스트럭션이다. 'COPY [원본경로] [복사경로]'형식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