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알기쉬운 알고리즘
- Serialization
- s
- coding test
- R
- JSON
- Graph
- buffer
- stream
- C 언어 코딩 도장
- Selection Sorting
- 메모리구조
- 이것이 자바다
- Algorithm
- Stack
- datastructure
- 이스케이프 문자
- insertion sort
- list 컬렉션
- 혼자 공부하는 C언어
- 윤성우 열혈자료구조
- 윤성우의 열혈 자료구조
- C programming
- Today
- Total
목록DevOps (8)
Engineering Note
systemd- 리눅스에서 사용하는 초기화 및 서비스 관리 시스템- 시스템의 부팅과정을 관리하고, 다양한 서비스를 시작/종료/관리하는 역할 리눅스에서 서비스- 시스템의 부팅과 설정 과정에서 할 일들을 구분하는 단위-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되는 프로세스 = 데몬(daemon) 프로세스 유닛 파일- systemd가 각 서비스를 어떻게 실행하고 관리할 지 설정하는 파일- 서비스에 필요한 설정, 실행 방법, 실행 시점, 다른 서비스와의 의존성, 실패시 재시작 방법 정의
1. MySQL 접속- root 권한으로 접속mysql -uroot -p 위 명령어를 입력하면 패스워드 입력하라는 요청이 생기는데 패스워드를 입력하면 MySQL에 접속할 수 있다. 2. 사용자 생성2-1. 로컬 사용자 생성CREATE USER '사용자명'@'localhost' IDENTIFIED BY '비밀번호'; 2-2. 외부 접속 가능 사용자 생성 -- 특정 IP에서만 접속 허용CREATE USER '사용자명'@'198.178.1.100' IDENTIFIED BY '비밀번호';-- 모든 호스트에서 접속허용CREATE USER '사용자명'@'%' IDENTIFIED BY '비밀번호'; 3. 권한 부여3-1 모든 권한 부여-- 특정 데이터베이스에 모든 권한GRANT ALL PRIVILEGES ON ..
ls- 파일 목록을 화면에 출력ls [옵션] [파일] 옵션설명-a모든 파일 출력-l파일의 여러 속성을 포함해 길게 출력-t파일의 여러 속성을 포함해 길게 출력-R하위 모든 디렉터리 순회-h사람이 읽기 좋은 크기(KB, MB, GB)로 파일출력 cd- 위치를 이동하는 명령어 cd [디렉터리] pwd- 현재 작업 디렉터리를 절대 경로로 조회하는 명렁어 cf) 절대 경로 표기법 : 루트 디렉터리를 기준으로 파일의 경로를 표현, 상데 경로 표기법 : 현재 작업 디렉터리를 기준으로 파일 경로 표현 cat- 파일의 내용을 연결하거나 조회- 파일의 내용을 화면에 출력할 수 있다.cat [옵션] [파일]
프로젝트를 하면서 리눅스에 Nginx를 설치하고 Nginx 가 필요한 이유를 정리하려고 한다.Nginx- Nginx는 HTTP요청에 대한 응답을 처리하는 Webserver, Reverse Proxy, content cache, load balancer, TCP/UDP proxy server 로 역할이 가능한 Software Nginx 설치 Nginx를 설정 파일- nginx가 어떤 포트 번호를 사용할 지, 어디로 리다이렉트 할 지, 캐시 지속 시간은 어떻게 할 지 등등에 대해서 설정할 수 설정파일 위치에 아래 디렉터리 아래에 default 라는 파일로 있다./etc/nginx/sites-available vi 에디터로 열어보면 아래 처럼 초기 설정되어 있다. # # Se..
서버 설정MySQL 설정 파일명- 유닉스 계역(리눅스 포함) => my.cnf MySQL 서버에서 사용한느 my.cnf 파일 경로 확인하는 법- mysql --help```Default options are read from the following files in the given order:/etc/my.cnf /etc/mysq/my.cnf /usr/etc/my.cnf ~/.my.cnf``` MySQL 서버는 지정된 여러 개의 디렉터리를 순차적으로 탐색하면서 처음 발견된 my.cnf 파일을 사용한다. 실제 MySQL 서버는 단 하나의 설정 파일(my.cnf)만 사용하지만 설정 파일이 위치한 디렉터리는 여러 곳일 수 있다.MySQL 서버용 설정 파일은 주로 1번이나 2번을 사용하는데, 실무에서는 그런경..

Docker를 사용하다보면 자주사용 하는 명령어는 익숙하지만, 새로운 명령어를 사용해야 할 때도 있다. 이때 --help 옵션을 사용하면 명령어에 대한 추가 옵션이나, 새로운 명령어를 확인할 수 있다.예를 들면 docker container run은 자주 사용하는데 docker container 다음에 run 명령어 말고 다른 명령어를 알고 싶을 경우, docker container 다음에 --help를 붙여주면 docker container와 관련된 다른 명령어를 알 수 있다. 여기에 만약에 컨테이너의 내부 파일을 변경하고 싶다면 exec 명령어를 사용할 수 있다. docker container exec -it /bin/sh 이를 통해 컨테이너의 내부에 접속에 터미널을 통해 컨테이너와 CLI로 파일..
도커 이미지 파일을 만들려면 Dockerfile을 작성하는데, 이때 이미지 레이어 캐시원리를 이해하면 Dockerfile 스크립트를 최적화 할 수 있다.Dockerfile 스크립트의 인스트럭션은 각각 하나의 이미지 레이어와 1:1로 연결되는데, 인스트럭션 겨로가가 이전 빌드와 같다면, 이전에 캐시된 레이어를 재사용한다.(내부적으로 해시값 사용)아래와 같은 Dockerfile이 있을 때, 빌드 후에 app.js를 수정하고 다시 빌드하면, COPY app.js 인스트럭션 위 스크립트는 변경된 사항이 없기 때문에 도커가 캐시된 레이어를 사용하고 COPY app.js . 부터는 새로 인스트럭션을 수행한다. 그런데 COPY app.js 이후에 해당하는 인스트럭션 'CMD ["node", "/web-ping/app..
FROM: 모든 도커 이미지는 다른 이미지로부터 출발한다. Dockerfile 스크립트에서 다른 이미지를 불러오는 인스트럭션. ENV: 도커 컨테이너내에 파일시스템의 환경변수를 기정하기 위한 인스트럭션이다.WORKDIR: 컨테이너 이미지 파일 시스템에 디렉터리를 만들고, 해당 디렉터리를 작업 디렉터리로 지정하는 인스트럭션이다. 리눅스와 인도우 컨테이너 모두 구분자로 슬래시를 사용한다. 만약 'WORKDIR /web-ping' 이라고 작성했다면, 리눅스 컨테이너에서는 /web-ping 디렉터리를 만들고, 윈도우 컨테이너에서는 C:\web-ping 디렉터리를 만든다.COPY: 로컬 호스트 파일 시스템의 파일 혹인 디렉터리를 컨테이너 이미지로 복사하는 인스트럭션이다. 'COPY [원본경로] [복사경로]'형식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