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 1 | ||||||
| 2 | 3 | 4 | 5 | 6 | 7 | 8 |
| 9 | 10 | 11 | 12 | 13 | 14 | 15 |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 30 |
- 알기쉬운 알고리즘
- 윤성우의 열혈 자료구조
- list 컬렉션
- buffer
- coding test
- datastructure
- R
- JSON
- Stack
- Serialization
- C programming
- 이것이 자바다
- C 언어 코딩 도장
- stream
- s
- 이스케이프 문자
- 메모리구조
- Algorithm
- Selection Sorting
- insertion sort
- Graph
- 윤성우 열혈자료구조
- 혼자 공부하는 C언어
- Today
- Total
Engineering Note
[Network] HTTP 메서드 POST, PUT, PATCH 본문
[Network] HTTP 메서드 POST, PUT, PATCH
Software Engineer Kim 2025. 7. 16. 18:36HTTP 메세지에는 요청 라인에는 요청 메서드가 들어간다. 요청 메서드는 서버에게 무엇을 '어떻게'라는 요청에서 '어떻게'에 해당하는 역할을 한다.
데이터를 수정할 때 사용하는 POST, PUT, PATCH 차이를 정리하려고 한다.
POST는 기본적으로 클라이언트에서 데이터를 서버에 전송해서 추가하고 싶을 때 사용한다. 가령, 게시판에 글을 올리거나 하는 등 작성한 내용을 서버에 전송해서 추가할 때 주로 사용하지만, 수정이나, 삭제할 때도 사용할 수 있다.
POST가 데이터를 추가하는데 사용하는 게 기본이라면, PUT과 PATCH는 기본적으로 수정을 하는 메서드이다. 하지만 차이가 있다. PUT은 데이터 전체를 수정하고 싶을때, PATCH는 일부만 수정하고 싶을 때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서, PUT으로 요청 메세지를 보내면 닉네임만 바꾸고 싶다고 요청했지만, 생년월일 등 다른 모든 데이터가 바뀔 수 있다. 이와 달리, PATCH는 닉네임 수정 요청을 보내면 닉네임만 수정된다.
안정성
- 클라이언트가 요청을 해도 서버의 자원이 변하지 않는 특성
- ex)GET, HEAD, OPTIOS
- GET메서드는 서버에 요청을 보내도 서버의 자원에 영향을 주지 않으며 클라이언트가 요청한 데이터를 조회해서 응답해주기만 한다.
멱등성(idempotent)
- 연산을 여러 번 적용해도 겨로가가 달라지지 않는 현상
- ex) GET, HEAD, PUT, DELETE, OPTIONS
- GET 메서드는 요청을 한 번 보냈을 때와, 100번 보냈을 때 모두 서버 자원의 상태를 변화시키지 않는다.
- PUT은 기존 데이터를 대체하는 메서드로 특정 데이터만 수정한다.
'Computer Science >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 [Network] 간단한 채팅프로그램 직접 만들어보며 TCP/IP 소켓 통신 이해하기 (6) | 2025.07.20 |
|---|---|
| [Network] HTTP 메세지 구조 (0) | 2025.07.16 |
| [Network] 무상태 프로토콜 HTTP와 신뢰성 프로토콜 TCP (0) | 2025.07.15 |
| [Network] IP의 역할과 특징 (0) | 2025.07.02 |
| [Network] OSI 7계층과 계층별 데이터 용어 (0) | 2025.06.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