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 1 | 2 | 3 | 4 | |||
| 5 | 6 | 7 | 8 | 9 | 10 | 11 |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 26 | 27 | 28 | 29 | 30 | 31 |
- JSON
- Stack
- C programming
- Selection Sorting
- 이스케이프 문자
- datastructure
- 윤성우 열혈자료구조
- 메모리구조
- Algorithm
- insertion sort
- stream
- list 컬렉션
- s
- C 언어 코딩 도장
- coding test
- R
- Serialization
- Graph
- 이것이 자바다
- 알기쉬운 알고리즘
- buffer
- 혼자 공부하는 C언어
- 윤성우의 열혈 자료구조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516)
Engineering Note
https://docs.spring.io/spring-boot/reference/using/devtools.html 이나 메이븐 포지토리에서 원하는 버전의 dev-tools를 찾아, 의존성 추가 코드를 추가해준다. Project Settings(Command + ,) > Build, Execution, Deployment > Compiler 에서 Build project automaticcaly 체크Project Settings(Command + ,) > Build, Execution, Deployment > Advanced Settings 에서 Aullow auto-make to start event if developed application is currently running 체크
@SpringBootApplication은 @EnableAutoConfiguration, @ComponentScan, @Configuration을 합쳐놓은 어노테이션이다.어노테이션특징 및 설명@EnableAutoConfigurationSpring Boot의 자동 설정 기능을 켜주는 어노테이션이다.Spring Boot가 클래스패스에 있는 라이브러리와 설정을 보고 적절한 Bean과 설정을 자동으로 구성하게 해준다.@ComponentScan지정한 패키지 이하의 @Component 어노테이션이 붙은 클래스들을 찾아서 스프링 빈으로 등록해준다.@Service, @Repository, @Controller, @Component 등이 등록된 클래스들을 자동으로 DI(의존성 주입) 할 수 있게 해준다.보통 @Sprin..
Docker를 사용하다보면 자주사용 하는 명령어는 익숙하지만, 새로운 명령어를 사용해야 할 때도 있다. 이때 --help 옵션을 사용하면 명령어에 대한 추가 옵션이나, 새로운 명령어를 확인할 수 있다.예를 들면 docker container run은 자주 사용하는데 docker container 다음에 run 명령어 말고 다른 명령어를 알고 싶을 경우, docker container 다음에 --help를 붙여주면 docker container와 관련된 다른 명령어를 알 수 있다. 여기에 만약에 컨테이너의 내부 파일을 변경하고 싶다면 exec 명령어를 사용할 수 있다. docker container exec -it /bin/sh 이를 통해 컨테이너의 내부에 접속에 터미널을 통해 컨테이너와 CLI로 파일..
IP(Internet Protocol)는 프로토콜 중 하나로 인터넷에서 데이터를 주고 받을 때 사용하는 통신 규약이다. 이때 전달하는 데이터를 특별히 패킷이라고 부르고, 패킷을 이용해 정보를 교환하는 방식을 패킷교환 방식이라고 부른다. IP 의 주된 역할- 패킷을 정해진 목적지까지 전달IP의 특징- 비신뢰성(unreliable) : 내용물의 상태를 보장하지 않음- 비연결성(connectionless) : 수신자 여부를 고려하지 않음.가장 많이 사용하는 IP- IPv4 IP 구성- 8비트.8비트.8비트.8비트- IP 각 자리는 0부터 255까지 숫자를 가질 수 있음. (8비트는 0부터 255(00000000 ~ 11111111)- 앞 24비트 : 네트워크 주소, 마지막 8비트 : 호스트 주소. 단 마지막 ..
도커 이미지 파일을 만들려면 Dockerfile을 작성하는데, 이때 이미지 레이어 캐시원리를 이해하면 Dockerfile 스크립트를 최적화 할 수 있다.Dockerfile 스크립트의 인스트럭션은 각각 하나의 이미지 레이어와 1:1로 연결되는데, 인스트럭션 겨로가가 이전 빌드와 같다면, 이전에 캐시된 레이어를 재사용한다.(내부적으로 해시값 사용)아래와 같은 Dockerfile이 있을 때, 빌드 후에 app.js를 수정하고 다시 빌드하면, COPY app.js 인스트럭션 위 스크립트는 변경된 사항이 없기 때문에 도커가 캐시된 레이어를 사용하고 COPY app.js . 부터는 새로 인스트럭션을 수행한다. 그런데 COPY app.js 이후에 해당하는 인스트럭션 'CMD ["node", "/web-ping/app..
FROM: 모든 도커 이미지는 다른 이미지로부터 출발한다. Dockerfile 스크립트에서 다른 이미지를 불러오는 인스트럭션. ENV: 도커 컨테이너내에 파일시스템의 환경변수를 기정하기 위한 인스트럭션이다.WORKDIR: 컨테이너 이미지 파일 시스템에 디렉터리를 만들고, 해당 디렉터리를 작업 디렉터리로 지정하는 인스트럭션이다. 리눅스와 인도우 컨테이너 모두 구분자로 슬래시를 사용한다. 만약 'WORKDIR /web-ping' 이라고 작성했다면, 리눅스 컨테이너에서는 /web-ping 디렉터리를 만들고, 윈도우 컨테이너에서는 C:\web-ping 디렉터리를 만든다.COPY: 로컬 호스트 파일 시스템의 파일 혹인 디렉터리를 컨테이너 이미지로 복사하는 인스트럭션이다. 'COPY [원본경로] [복사경로]'형식으..
상황도커 컨테이너를 호스트 컴퓨터의 포트로 포워딩해서 실행하려고 할 때 아래 같은 오류 발생실행 명령어 및 에러메세지 실행 명령어docker container run --detach --publish 8080:80 diamol/ch02-hello-diamol-web 에러 메세지docker: Error response from daemon: Ports are not available: exposing port TCP 0.0.0.0:8080 -> 0.0.0.0:0: listen tcp 0.0.0.0:8080: bind: address already in use. 에러 메세지 해석 및 분석도커 컨테이너의 80포트를 호스트 컴퓨터 8080에 포워딩하려고하는데 8080포트가 이미 사용중이라는 에러메시지이다.해결..
git push를 했더니 아래와 같은 오류가 나왔다.remote: Invalid username or password.fatal: Authentication failed for 'https://github.com/' GitHub · Build and ship software on a single, collaborative platformJoin the world's most widely adopted, AI-powered developer platform where millions of developers, businesses, and the largest open source community build software that advances humanity.github.com 에러메세지를 해석하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