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Serialization
- 이스케이프 문자
- Algorithm
- C 언어 코딩 도장
- buffer
- s
- coding test
- 혼자 공부하는 C언어
- 윤성우의 열혈 자료구조
- 이것이 자바다
- Graph
- 메모리구조
- Stack
- stream
- insertion sort
- 알기쉬운 알고리즘
- 윤성우 열혈자료구조
- R
- JSON
- C programming
- Selection Sorting
- datastructure
- list 컬렉션
- Today
- Total
Engineering Note
[Server] Pagination 개념과 Pagination 에서 사용되는 용어, 페이지 시작 번호계산 방법 본문
[Server] Pagination 개념과 Pagination 에서 사용되는 용어, 페이지 시작 번호계산 방법
Software Engineer Kim 2025. 9. 17. 16:02Pagination 개념
- 웹사이트에서 데이터를 페이지별로 나누어서 표시하는 기술
Pagination 사용 이유
- 페이지네이션을 사용하는 이유는 크게 Engineering 관점에서 성능향상과 사용자 관점에서 사용자 경험 개선이 있다.
- 보통 데이터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해두고 사용하는데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대량의 데이터를 한 번에 요청하고 이를 다시 클라이언트로 전송하려면 네트워크를 많이 이용해야하고 그러면 결국 페이지 로딩 속도가 저하될 수밖에 없다. 그래서 페이지별로 데이터를 그룹화해서 원하는 만큼의 데이터를 요청하고 응답하면서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사용자가 페이지별로 원하는 데이터를 쉽게 탐색하고 검색할 수 있다.
Pagination에서 사용되는 용어
- page number : 데이터를 그룹화한 페이지 번호
- page size : 한 페이지에서 보여줄 데이터 수
- max page : 화면에서 페이지 보여줄 최대 페이지 번호수
- page index : 컴퓨터의 페이지 번호(0부터 시작), 컴퓨터는 0부터 번호를 인덱스로 계산하기 때문에 화면에 보여줄 때는 이 인덱스를 사용자가 계산하는 페이지번호로 변환해야 함
데이터 그룹화 개념 공식
페이지 번호 그룹화
페이지 번호 그룹화 과정과 최종 공식
- 페이지 번호 자체도 FE 입장에서는 하나의 데이터로 볼 수 있는데 이를 다시 그룹화 해서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 현재 페이지 번호/최대 페이지 번호수*(화면에 보여줄 페이지 번호개수) = 현재 페이지 번호가 속하는 페이지 그룹 인덱스 번호 => 나눈다는건 그룹화로 나눈다는 걸 의미 ex) 현재 페이지가 2페이지고, 화면에 최대보여줄 페이지 번호개수가 5일 때, 2페이지의 그룹화 인덱스는 0이다.
- 현재 그룹인덱스에서 보여줄 첫 번째 번호와 마지막 번호 구하기 => (페이지 번호 그룹화 인덱스 번)*화면에 보여줄 페이지 번호 개수 + 1
FE 페이지네이션에서 사용할 최종 공식 정리
start page = (page number/max page)*(max page) + 1
end = start page + (max page - 1)
'Serv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Spring] BindingResult (0) | 2025.09.22 |
---|---|
[Server] 리버스 프록시(Reverse Proxy)란? (0) | 2025.09.20 |
[Server] Spring Boot3 Security 적용 방법 (0) | 2025.09.12 |
[Sever] 스프링 부트 쓰레드, DB 커넥션 (0) | 2025.09.04 |
[Server] JPA에서 페이징 처리 (0) | 2025.09.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