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R
- 메모리구조
- Stack
- list 컬렉션
- buffer
- Graph
- 이것이 자바다
- C programming
- 혼자 공부하는 C언어
- stream
- 알기쉬운 알고리즘
- C 언어 코딩 도장
- Selection Sorting
- JSON
- coding test
- 윤성우의 열혈 자료구조
- 이스케이프 문자
- Algorithm
- datastructure
- 윤성우 열혈자료구조
- insertion sort
- Serialization
- s
- Today
- Total
Engineering Note
[JPA] JPA 동작 방식 본문
Entity
- 데이터 베이스 테이블에 대응하는 클래스
- @Entity 어노테이션이 붙은 클래스는 JPA에서 관리하는 엔티티가 된다.
Entity Manager Factory
- Entity Manager instence를 관리하는 주체
- 애플리케이션 실행 시 한 개만 만들어지며 사용자로부터 요청이 오면 Entity Manager Factory로 부터 Entity 매니저를 생성한다.
Entity Manager
- Persistence Context(영속성 컨텍스트)에 접근하여 Entity에 대한 데이터베이스 작업을 제공
- 내부적으로 데이터베이스 커넥셔능ㄹ 사용해서 데이터베이스에 접근
Entity Manger의 메서드
1. find() : Persistence Context에서 Entity를 검색하고, 없을경우 데이터베이스에서 데이터를 찾아 Persistence Context에 저장
2. persist() : Entity를 Persistence Context에 저장
3. remove() : Entity 클래스를 Persistence Context에서 삭제
4. flush() : Persistence Context에 저장된 내용을 데이터베이스에 반영
Persistence Context
- Application과 Database 사이를 연결해주는 중간계층으로 JPA가 Entity를 영구 저장하는 환경으로 Entity Manager를 통해 Persistence Context에 접근한다.
- 버퍼링, 캐싱등으로도 사용
'Server > JPA ORM' 카테고리의 다른 글
[JPA] JPA save 쿼리메소드 실행시 내부 동작 흐름 정리 (0) | 2025.09.14 |
---|---|
[JPA] @Enumerated 어노테이션 (0) | 2025.09.14 |
[JPA] 지연로딩(Lazy Loading)으로 인한 N+1 문제 (0) | 2025.08.22 |
[JPA] 지연로딩 개념 (0) | 2025.08.22 |
[JPA] EntityManagerFactory, EntityManager (0) | 2025.07.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