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ngineering Note

[Network] 네트워크에서 쓰이는 단위 본문

Computer Science/Network

[Network] 네트워크에서 쓰이는 단위

Software Engineer Kim 2025. 7. 29. 15:02

Rate라는 용어가 많이 나오는데 실제 우리가 일상에서 사용하는 속도라는 개념도 있지만, 처리량, 처리능력이라는 의미의 속도도 있다. 맥략적으로 잘 해석해야 하는데 아래처럼 정리하려고 한다.

 

 

 

구분 한글 용어 영어 용어 정의 / 의미 단위 비교

구분 용어 English expression Description 단위 보충 설명
전송 속도 전송률 / 전송 속도 Transmission Rate 네트워크 링크가 초당 전송 가능한 최대 데이터 양 bps, Mbps, Gbps 하드웨어의 능력, 즉 대역폭(Bandwidth)
유입 속도 트래픽 유입 속도 Incoming Traffic Rate또는 Arrival Rate 실제로 외부에서 내 서버/시스템으로 도착하는 데이터의 속도 Mbps,packets/sec 등 보통 측정값이며, 클라이언트 요청량
처리율 처리량 / 실제 전송 속도 Throughput 실제로 성공적으로 전달된 데이터의 속도 Mbps 등 트래픽 유입 속도보다 낮을 수 있음 (손실, 병목 등)
대역폭 대역폭 Bandwidth 링크가 이론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최대 용량 Mbps Transmission rate와 비슷하거나 같음
용량 링크 용량 Capacity 네트워크가 전송 가능한 총 능력 (대역폭 의미와 동일) Mbps 일반적으로 Bandwidth와 동의어로 사용됨

 

 

Incoming Traffic Rate (bits/sec) = λ (packets/sec)×L (bits/packet)

 

 

Traffic Intensity => 유입량과 링크의 처리 능력의 비율(λ*L/R)

기호 의미, 단위 대응되는 네트워크 용어

λ (lambda) 평균 유입 속도(패킷 도착률) packets/sec Arrival Rate or Incoming Traffic Rate
L 한 패킷의 평균 크기 bits/packet 보통 정해진 값, 예: 1,000B = 8,000bits
R 전송 속도 bits/sec (bps, Mbps) = Transmission Rate or Bandwidth(Link Capacity)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