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 1 | ||||||
| 2 | 3 | 4 | 5 | 6 | 7 | 8 |
| 9 | 10 | 11 | 12 | 13 | 14 | 15 |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 30 |
- insertion sort
- 이스케이프 문자
- datastructure
- coding test
- 이것이 자바다
- 메모리구조
- C 언어 코딩 도장
- Serialization
- 알기쉬운 알고리즘
- R
- 혼자 공부하는 C언어
- Selection Sorting
- JSON
- Graph
- s
- C programming
- 윤성우 열혈자료구조
- stream
- list 컬렉션
- Algorithm
- buffer
- Stack
- 윤성우의 열혈 자료구조
- Today
- Total
Engineering Note
프로그래밍 철학 본문
<table>
<thead>
<tr>
<th>기준</th>
<th>폰노이만 구조 기반 코딩<br>(명령·절차·설계 중심)</th>
<th>ANN 철학 기반 바이브 코딩<br>(선언·추론·데이터 중심)</th>
<th>조화롭게 쓰는 포인트</th>
</tr>
</thead>
<tbody>
<tr>
<td>철학적 토대</td>
<td>CPU ↔ 메모리 분리, 직렬 계산</td>
<td>뉴런 병렬 계산, 데이터·가중치 일체</td>
<td>“하나의 정답”이 아니라 상황별 선택</td>
</tr>
<tr>
<td>주요 관심</td>
<td>로직·흐름·구조 설계</td>
<td>데이터·상태·맥락 조율</td>
<td>핵심 비즈니스는 설계, UI·AI는 데이터 흐름</td>
</tr>
<tr>
<td>표현 방식</td>
<td>절차형·OOP·클래스/메서드</td>
<td>선언형·함수형·상태↔뷰 반응</td>
<td>공통 인터페이스(계층)로 결합</td>
</tr>
<tr>
<td>실행 모델</td>
<td>명시적 명령 → 실행</td>
<td>의도 선언 → 시스템 추론</td>
<td>명령·의도 경계를 명확히</td>
</tr>
<tr>
<td>주로 쓰는 영역</td>
<td>인증, 트랜잭션, 보안, 핵심 도메인</td>
<td>UI/UX, 실험 기능, AI 연동</td>
<td>모놀리식 핵심 + 바이브 프론트/서비스</td>
</tr>
<tr>
<td>개발자 역할</td>
<td>설계자·구현자</td>
<td>조율자·탐색자</td>
<td>“설계→실험→정제” 두 루프 운용</td>
</tr>
<tr>
<td>가치/강점</td>
<td>예측 가능성, 안정성, 명확한 책임</td>
<td>속도, 유연성, 빠른 피드백</td>
<td>품질 게이트(테스트·리뷰)로 균형 유지</td>
</tr>
<tr>
<td>적합 상황</td>
<td>결과가 엄격히 정해진 경우</td>
<td>빠른 탐색·검증이 필요한 경우</td>
<td>기능·계층별 혼용 설계</td>
</tr>
<tr>
<td>주의 점</td>
<td>변화 적응이 느릴 수 있음</td>
<td>구조 붕괴·기술부채 위험</td>
<td>리팩터링 주기 + 테스트 전략 필수</td>
</tr>
</tbody>
</tab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