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윤성우의 열혈 자료구조
- 이스케이프 문자
- list 컬렉션
- Stack
- 이것이 자바다
- buffer
- Graph
- R
- coding test
- 혼자 공부하는 C언어
- s
- 알기쉬운 알고리즘
- 윤성우 열혈자료구조
- Selection Sorting
- datastructure
- insertion sort
- stream
- Serialization
- C programming
- C 언어 코딩 도장
- JSON
- Algorithm
- 메모리구조
- Today
- Total
Engineering Note
[Java] Generic(제네릭) 본문
Generic 개념
제네릭이란 결정되지 않은 타입을 파라미터로 처리하고, 실제 사용할 때 파라미터를 구체적인 타입으로 대체시키는 기능.
Generic을 사용하는 이유
Generic은 클래스를 선언할 때, 필드나, 파라미터의 타입을 어떤 타입으로 지정해야할 지 결정할 수 없을 때 사용한다. 예를 들면, Box 클래스의 content 필드를 선언하려고 하는데 String으로 할지, List로 할지 결정 할 수 없을 때, Generic을 사용하면 Box 클래스를 사용할 때 구체적인 타입으로 정할 수 있다.
public class Box {
public ? Content
}
그런데 이런 의문이 들수도 있다. 모든 클래스의 부모 클래스인 Object를 사용하면 자바의 다형성을 이용해서 모든 타입을 담을 수 있는것 아닌가? 그런데 그렇게 됐을 때 클래스를 선언하고 클래스를 생성할 때는 문제가 없지만, 값을 꺼내올 때 매번 강제 타입 변환을 해서 내용물을 얻어야 한다. 만약 어떤 내용물이 저장되어 있는지 모른다면, 모든 코드에 instanceof 연산자로 타입을 조사해야한다.
Box box = new Box();
box.content = 모든 객체;
String content = (String) box.content
정리하면, 클래스를 선언할 시점에는 클래스 내부에 존재하는 필드의 타입이 뭔지 알 수 없을 때, 모든 클래스의 조상인 Object로 선언할 수 있지만, 생성후 다른 곳에 저장할 때, 매번 타입체킹을 하는 불편함을 개선하기 위해, 결정되지 않은 타입을 파라미터로 처리하고 생성시점에 구체적인 타입을 파라미터로 전달해서 사용하는 기능이다.
사용 방법
public class Box <T> {
public T Content;
}
<T>는 T가 타입 파라미터임을 뜻하는 기호다. 타입이 필요한 자리에 T를 대신 사용할 수 있음을 알려주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는 Box 클래스는 T를 content 필드의 타입으로 사용했다. 즉, Box 클래스는 T가 무엇인지 모르지만, Box 객체가 생성될 시점에 다른 타입으로 대체된다는 것을 알고 있다.
참조 : 이것이 자바다(신용권, 임경균)
'Programming Language > Java' 카테고리의 다른 글
[Java] String, StringBuilder 그리고 문자열 뒤집기(StringBuilder.reverse()) (1) | 2025.06.17 |
---|---|
[Java] BOJ 입력받기, Scanner 객체 사용 (0) | 2025.06.17 |
[Java] Object 클래스 - 모든 클래스의 조상 (0) | 2025.03.30 |
이스케이프 문자 (0) | 2025.03.29 |
[Java] Polymorphism (1) | 2022.09.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