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ngineering Note

Selection Sorting 본문

Computer Science/Data Structure & Algorithm

Selection Sorting

Software Engineer Kim 2021. 1. 9. 20:42

선택정렬

  • 가장 작은 요소를 찾아 선택해 알맞은 위치로 옮겨서 순서대로 정렬하는 알고리즘이다.

선택정렬 알고리즘의 구체적 개념(오름차순 기준)

  • 첫 번째 요소부터 마지막 요소 까지 비교하여 가장 작은 값을 찾아 첫 번째 요소에 위치 시킨다.
  • 다시 두 번째 요소부터 마지막 요소 까지 비교 하여 가장 작은 값을 찾아 두 번째 요소에 위치 시킨다
  • 위 과정을 반복 수핸한다.

선택 정렬 알고리즘 C언어 구현

  • SelectionSort 함수

    • 배열의 주소와 사이즈를 인수로 받아 Min 함수로 최소값 찾고 Swap 함수로 교환
  • Min 함수

    • 배열의 주소와 최소값 찾을 구간을 넘겨주면 구간에서 첫번째 요소인덱스를 min에 대입하고 구간에서 루프문으로 두번째 요소부터 마지막 요소까지 list[min]과 비교 하며 최소값 인덱스값 반환
    • 첫 번재 요소(0번 Index) 인덱스 번호 0을 min 변수에 대입 하고 list[min]과 2번째 요소(1번 Index)부터 마지막 요소까지 비교하며 더 작은 값이 있다면 해당 Index번호를 min에 대입

'Computer Science > Data Structure & Algorithm' 카테고리의 다른 글

Quick Sort  (0) 2021.01.31
Insertion Sorting  (0) 2021.01.09
Bubble Sorting  (0) 2021.01.09
Chapter 01 자료구조와 알고리즘의 이해  (0) 2021.01.07
이진탐색 알고리즘의 재귀적 구현(C언어)  (0) 2021.01.06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