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 1 | ||||||
| 2 | 3 | 4 | 5 | 6 | 7 | 8 |
| 9 | 10 | 11 | 12 | 13 | 14 | 15 |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 30 |
Tags
- coding test
- C 언어 코딩 도장
- Algorithm
- Serialization
- datastructure
- s
- stream
- list 컬렉션
- 윤성우의 열혈 자료구조
- 메모리구조
- 이스케이프 문자
- 윤성우 열혈자료구조
- 알기쉬운 알고리즘
- 혼자 공부하는 C언어
- C programming
- buffer
- 이것이 자바다
- Graph
- Selection Sorting
- JSON
- R
- insertion sort
- Stack
Archives
- Today
- Total
Engineering Note
31. 탄화수소 질량 본문
it 취업을 위한 알고리즘 문제풀이
문제

코드1

코드2

문제해결방법
- 입력 값을 문자열 서식지장저 %s로 배열에 입력 받으면 마지막은 NULL로 입력된다.
- 문제의 조건에 따라 a와 b가 1일 경우를 각각 예외를 조건문으로 구현하면 C 바로 다음에(인덱스 1번에 )H가 입력 된 경우, H 바로 다음에 NULL이 입력된 경우이다.
- 각각의 if문 이외의 경우에 탄소의 수를 구하는 코드를 구현하면 배열에 값이 1번부터 H가 나올 때까지 배열의 문자로 저장된 값을 숫자로 변경해주고 누적 값을 구할때마다 기존값에 10을 곱해 자리수를 증가시켜준다.
- 이때 수소의 위치를 i값으로 확인가능하다. 하지만 인덱스 1에 H가 있을 경우에도 꼭 H의 위치를 표시해주어야 한다.
- 수소의 수를 구하는 코드는 H다음 값부터 NULl이 나올 때까지 위와 같은 방법으로 구해준다.
코드2는 코드1에서 가독성을 높이기 위해 수정
- pos 변수를 통해 H를 찾았을 때마다 마지막에 위치를 저장하는 의미로 바로 이해가 가능하도록 수정 (1인덱스에 1일때도 다른 곳에 H가 있을때도)
- carbon, hydrogen 변수를 없애고 약간 이지만 메모리 낭비 줄임
- 배열의 값을 바로 숫자화 하고 기존의 값에 10을 곱하는 방법으로 자리수를 증가시켜서 더함 이때 최초에 값도 문제가 없도록 하기 위해 기존 sum값은 반드시 0으로 초기화 되어 있어야 한다.
'Problem Solving > Olympiad in Informatics' 카테고리의 다른 글
| 39. 두 배열 합치기 (0) | 2021.03.01 |
|---|---|
| 41. 연속된 자연수의 합 (0) | 2021.02.28 |
| 29. 3의 개수는?(small) (0) | 2021.02.16 |
| 28. N!에서 0의 개수 (0) | 2021.02.13 |
| 27. N!의 표현법 (0) | 2021.02.12 |
Comment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