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 1 | ||||||
| 2 | 3 | 4 | 5 | 6 | 7 | 8 |
| 9 | 10 | 11 | 12 | 13 | 14 | 15 |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 30 |
- 혼자 공부하는 C언어
- 메모리구조
- Selection Sorting
- 윤성우 열혈자료구조
- JSON
- C 언어 코딩 도장
- datastructure
- coding test
- s
- buffer
- 이스케이프 문자
- insertion sort
- stream
- 알기쉬운 알고리즘
- C programming
- Algorithm
- list 컬렉션
- R
- Stack
- 이것이 자바다
- 윤성우의 열혈 자료구조
- Graph
- Serialization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517)
Engineering Note
엔터티를 도출하는 힘- 어떤 속성이 특정 엔터티에 속하는 게 맞는지를 판단하는게 정규화다.- 엔티티를 대표하는 속성을 찾은 후 해당 속성이 대표 속성에 종속됀는지 판단하면서 엔티티를 설계하는데 이 과정을 정규화라고 한다.- 정규화는 특정 속성이 어떤 엔터티에 속해야하는지를 따져서 제자리인 한 굿에만 있도록 하는 과정 정규화의 이점은 무엇인가?- 정규화의 가장 커다란 목적은 중복 데이터 제거.- 확장성이 좋아진다. 정규화를 한다는건 데이터 성격의 맞는 엔터티를 설계한다는 건데, 명확한 정규화는 변경이 생겼을 때, 데이터를 통합할 지 추가할 지가 명확하다는 뜻이다. 결국 확장성이 좋아진다. 정규화의 토대. 함수 종속- 함수 종속 : 데이터 종속성 => 릴레이션 내에 존재하는 속성 간의 종속성. 한 속성의 ..
모델링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중요한 개념1. 실체 엔터티2. 관계는 속성이다.3. 모델링 이론은 집합개념과 접목한다. 실체 엔터티의 정의실체 엔터티- 실제로 보이는 것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관리하는 엔터티- 만질 수 있는 실제의 물체 실체 엔터티가 아닌것- 보이지 않는 데이터를 관리하는 엔터티.- 추상적인 것(연상이 되는 것, 연상이 되지 않는 것) 주의할 점- 실체의 존재와 연관된 본질적인 데이터 관리.- 실체가 발생시킨 데이터를 의미 하지 않음.- ex)실체 엔터티에서 관리하는 데이터는 '홍길도'이란 실체 자체를 의미, '홍길동'이 '주문'하거나 '불평'한 것을 의미하지 않음. 실체 엔터티가 중요한 이유실체 엔터티의 중요성- 모델 구조적의로 최상위에 존재- 실체 엔터티는 대게 하위 엔터티가 많이 존재한..
기준 폰노이만 구조 기반 코딩(명령·절차·설계 중심) ANN 철학 기반 바이브 코딩(선언·추론·데이터 중심) 조화롭게 쓰는 포인트 철학적 토대 CPU ↔ 메모리 분리, 직렬 계산 뉴런 병렬 계산, 데이터·가중치 일체 “하나의 정답”이 아니라 상황별 선택 주요 관심 로직·흐름·구조 설계 데이터·상태·맥락 조율 핵심 비즈니스는 설계, UI·AI는 데이터 흐름 표현 방식 절차형·OOP·클래스/메서드 선언형·함수형·상태↔뷰 반응 공통 인터페이스(계층)로 결합 실행 모델 명시적 명령 → 실행 ..
Generic 개념제네릭이란 결정되지 않은 타입을 파라미터로 처리하고, 실제 사용할 때 파라미터를 구체적인 타입으로 대체시키는 기능. Generic을 사용하는 이유Generic은 클래스를 선언할 때, 필드나, 파라미터의 타입을 어떤 타입으로 지정해야할 지 결정할 수 없을 때 사용한다. 예를 들면, Box 클래스의 content 필드를 선언하려고 하는데 String으로 할지, List로 할지 결정 할 수 없을 때, Generic을 사용하면 Box 클래스를 사용할 때 구체적인 타입으로 정할 수 있다.public class Box { public ? Content} 그런데 이런 의문이 들수도 있다. 모든 클래스의 부모 클래스인 Object를 사용하면 자바의 다형성을 이용해서 모든 타입을 담을 수 있는것 아닌..
외부와 연동하는 프로젝트를 하다보면 다양한 형태의 JSON 구조를 만나게 돼서 이를 Java 객체와 매핑하는 역직렬화 과정을 거치게 되는데 이를 위한 연습을 했다. 1.JSON이 가질 수 있는 다양한 구조 - 기본형(단순 객체)- 배열 안에 객체- 객체 안에 배열- 배열 안에 중첩된 배열- 최상위 배열- 키 없는 구조 등 2 JSON 객체 매핑2.1 기본형 단순 객체{ "name" : "Tom", "age" : 2,} public class User { private String name; private int age;} 2.2 배열 포함 : 객체 안에 배열 { "name" : "Tom", "skills" : ["Java", "Spring, "JWT"]}public class User { ..
Object 클래스- Object 클래스는 모든 클래스의 상속계층도의 최상위에 있는 조상클래스이다. 다른 클래스로부터 상속 받지 않는 모든 클래스들은 자동적으로 Object클래스로부터 상속받는다. 만약 다음과 같은 Tv 클래스가 존재한다고 하면, 위 코드를 컴파일 하면 컴파일러는 위의 코드를 자동적으로 'extends Object'를 추가하여 Tv 클래스가 Object 클래스로부터 상속 받도록한다.class Tv { ...} 혹여나 다른 클래스로부터 상속을 받는다고 하더라도 상속계층도를 따라 조상클래스, 조상클래스의 조상클래스를 찾아 올라가다도면 마지막 최상위 조상은 Object 클래스를 만나게 된다.그동안 toString()이나 equals(Object o)와 같은 메서드를 따로 정의하지 않고도 사용..
정적타입 언어로 프로그래밍을 시작했고, 위치기반으로 정보를 감각적으로 파악하는 사람에게는 JSON이 타입을 명시하지 않기도 하고 타입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value가 있는 오른쪽으로 가서 표기의 형태를 파악해서 읽기가 어렵다.(따옴표가 있는지, 따옴표 없이 숫자로 적혀있는지 , {}로 되어 있는지, []로 되어있는지 등) 심지어 JSON이 프로그래밍 언어 내부에서 문자열형태로 표시되고 있을 때는 이스케이프 문자와 겹쳐서 더더욱 파악하기 어렵다.하지만 JSON을 잘 파악하는 능력은 API를 설계해야하는 백엔드 개발자에게는 필수 능력이다. 그래서 이번기회에 있어서 JSON의 개념과 사용 이유, JSON을 쉽게 읽는 방법을 정리하려고 한다. 1. JSON이란?- JavaScript Object Nataion..
이스케이프 문자(Escape Character)란?Java에서 문자열 안에서 또는 정규표현식에서 특별한 의미를 가진 문자나 제어 문자를 표현하기 위해 '\'(역슬래시)를 이용해 나타내는 방식. Java뿐 아니라 다른 언어에도 존재한다. 예를 들어 문자열안에서 쌍따옴표(")를 쓰고 싶으면 쌍따옴표앞에 역슬래시를 붙여준다.ex) "나는 \"자바\"를 공부한다."만약 역슬래시를 쓰지 않고 "나는 "자바"를 공부한다." 이렇게 사용한다면 "나는 " 이 하나의 문자열 처럼 인식되면서 문법 오류가 난다.또 다른 예로 문자열 안에서 정규표현식의 진짜 마침표를 표현하고 싶다면, 여기서 진짜 마침표라고 한 이유는 정규표현식에서 마침표는 또다른 의미로 특수한 의미를 가지는 문자이기 때문(정규표현식에서 마침표(.)는 모든 ..